Hi there!

I am a student studying computer science.

728x90

분류 전체보기 127

시스템 프로그래밍 12장 - IPC methods (FIFO)

IPC methods Pipe FIFO Message Queues Shared Memory (b/w processes) FIFO (named pipe) Revies on pipe() - 가장 오래된 IPC - data 전송하기 위해 두 개의 pipe를 만들어서 읽고 쓸 수 있도록 한다. - pipe가 full or empty일 경우 blocked한다. - 한계 half duplex (한쪽으로만 흐른다) 부모자식관계에서만 가능하다 process간 넘겨줄 수 없다. 상속한 모든 자식은 pipe가 생긴다. 사용하지 않는 fd는 무조건 closed되어야한다. FIFO Pipe는 상속관계에서만 가능하다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IPC Pipe와 유사하게 동작한다. 하지만 관계없는 process들 끼리 매개체를 통해..

시스템 프로그래밍 11장 - Timer

#include int setitimer (int which, const struct itimerval *value, struct itimerval *oval); interval time, 자기가 설정한 시간마다 event발생하도록 설정 주기적으로 signal이 생성된다. which : timer type ITMER_REAL : 실제시간 마다 ITIMER_VIRTURE : user mode 시간 ITIMER_PROF : process running time user mode+kernel mode value : 설정할 시간 값 itemerval oval : 현재 설정된 timer interval 값 return 0 / -1 #include int getitimer (int which, struct itim..

시스템 프로그래밍 10장 - Signal 2

#include int sigprocmask(int how, const sigset_t *set, sigset_t *oset); 어떤 signal이 전달되었을 때 전달 받지 않도록 mask한다. signal을 block / unblock한다. block되면 unblock될 때가지 연기된다. how : block / unblock 할건지에 대해서 set : 프로세스에서 signal에 대해 설정한 변수(setting 된 값) sigset_t(process에서 blocking을 하거나 unblocking을 할 signal에 설정을 해준 data값)에 원하는 signal을 masking할건지 안할건지 setting된 변수. 별도 함수로 setting한다. oset : 현재 setting된 mask값을 반환받을 ..

시스템 프로그래밍 10장 - Signal 1

시스템에서 커널의 내부적 이벤트와 연관된 process에게 신호를 전달 process입장에서 비동기적으로 전달받고 이벤트를 handling하는 메커니즘을 동작시킨다. --> signal handling User's View 자신이 프로그램이 실행되다 signal을 받으면 멈추고 signal을 처리하는 handler를 수행 handler가 없으면 default 핸들러가 실행된다. signal에 따라 프로그램 종료를 하거나 signal을 처리하고 다시 이어서 실행한다. Kernel's View - kernel은 여러 signal이 있다. - signal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event가 발생했다는 것을 check한다. - 이벤트와 연관된 process의 control block에 signal 체크한다. - ..

시스템 프로그램 9장 - Semaphore

semaphore system call thread의 mutex와 유사하다. 공유된 자원을 동기화할 수 있는 기법 1960대 dijkstra에 의해 설계되었다. Thread, Process들이 resource를 공유하는 영역인 critical section을 제어하는데 사용한다. 기본적인 특징 (개념적으로 유사하다) -상호배제를 위해 접근을 막거나 허용하는 것을 block/wackup algorithm -다른 process가 사용하고 있어서 어떤 process가 접근할 수 없으면 wait큐에 process를 넣어주고 끝나면 깨운다release한다. - wake que를 하기 때문에 cpu time소모가 없다 - 여러 process가 접근하면 wait que를 사용한다. Counting Semaphore ..

시스템 프로그래밍 8장 - Memory 1

메모리란? Process가 program을 실행되는데 필요한 가장 기본적인 자원중 하나이다. - Process입장에서 address space(가상공간의 주소)내에서 Memory가 할당되고 해제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 그 후 커널이 각 process의 가상공간의 Memory영역을 물리적 Memory에 mapping한다. - 그래서 process는 실제 물리적 Memory할당에 관여할 필요가 없다. - 가상공간의 address space가 낮은주소 부터 높은 주소까지 만들어지고, 특징적으로 나누어진다. - 커널에서 페이지 단위로 관리한다. 이 공간을 어떻게 할당하고 해제하는지 알아본다. - Text 영역 - Initialized data 초기화된 데이터 영역 - Uninitialized data(bss..

ML lec06 - Softmax Regression(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이전 lecture : Logistic regression 기본적으로 HL(x) = Wx이다. 이에 대한 값은 100, 200, 10 등 다양해서 0, 1 중 고르기엔 적합하지 않다. 그래서 z = HL(x)를 만들어서 , g(z) = 0 ~ 1 로 값이 나오길 원했다. 그 결과 g(z) = 11+e-z ( sigmoid logstic) 를 만들어냈다. 결론적으로 H­R(x) = g(HL(x)) 식을 만들었다. Multinominal Classification 0, 1이 아닌 A, B, C와 같이 여러 개로 분류한다. (Multinominal Classification) - 각 변수에 대하여 sigmoid함수(hypothesis)를 적용시킨다. - Sigmoid를 거친 함수는 Logistic regres..

ML Lec 5: Logistic Classification

Logistic Classification - classcification중 에서 정확도가 높다. 굉장히 중요한 알고리즘이다. Regression(HCG) : 복습 Hypothesis(가설) Cost(가설과 실제의 차이) Gradinent decent(경사하강법) Binary Classification 둘(0,1)중 하나로 결정한다 - Spam Detection : Spam or Ham : 스팸 이메일 탐지 : spam 1 or ham 0 - Facebook feed : show or hide : facebook에서 좋아요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수많은 타임라인을 선택적으로 보여준다. : show 1 or hide 0 - Credit Card Fraudulent Transaction detections : ..

3장 에지 검출 - RANSAC (Random Sample Consensus)

RANSAC - 1981년 Fischler&Bolles이 제안 [Fischler81] - 인라이어를 찾아 어떤 모델을 적합시키는 기법이다. - 난수 생성하여 인라이어 군집을 찾기 때문에 임의성 지닌다. 인라이어와 아웃라이어가 혼합되어 있는 샘플 집합이 주어진 상황에서 인라이어를 찾아 어떤 모델을 적용시키는 일반적인 기법이다. 이 기법은 무작위로 수를 생성하여 인라이어 군비을 찾아내는 과정을 반복하므로 임의성을 지닌다. 선분 검출에 적용 모델은 직선의 방정식 y=ax+b - 이때 에지 화소의 집합이 샘플 집합이 된다 - 모델은 직선의 방정식이 y = ax+b이다. - RANSAC은 이 모델의 매개변수 a와 b를 추정해 준다. step1. 난수를 생성하여 임의로 두 개의 샘플을 선택한다. (그림에서 점선으로..

컴퓨터 비전 2020.05.13

3장 에지 검출 - 허프변환(Hough Transform)

허프 변환 - 에지 연결 과정 없이 선분 검출 (전역 연산을 이용한 지각 군집화) //연결 관계가 명확하지 않거나 잡음으로 인해 작은 조각으로 끊어져 있는 경우 좋다. //전체 공간을 조사하는 전역연산(global operation) //일직선 상에 있다고 지각하는 점들을 한 곳으로 모으는 원리 지각 군집화(perceptual grouping), clustring - 영상 공간 y-x를 기울기 절편 공간 b-a로 매핑 점(y_3, x_3)을 지나는 모든 좌표의 방정식 : y_3 = ax_3+b (1, 5) : 5 = 1a+b --> b = -1a+5 (2, 3) : 3 = 2a+b --> b = -2a+3 (4, 1) : 1 = 4a+b --> b = -4a+1 이 세 직선의 교점 (b_1,a_1)로 세..

컴퓨터 비전 2020.05.13
728x90